-
반응형
[목차]
1. KJMO 시험이란?
KJMO(Korean Junior Mathematical Olympiad)는 한국수학올림피아드의 주니어 버전으로, 영재고 및 과학고 입시 또는 수학 영재원 입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대회입니다. 수학적 사고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며, 초등 고학년~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주요 응시 대상입니다.
2. 2022~2024년 기출문제 분석
시험은 모두 단답형 20문제로 구성되었으며, 주어진 시간은 120분, 문제당 5점입니다.
매년 유사한 형식이 반복되며, “경우의 수, 분수식, 도형 넓이”는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특히 2023~2024년은 복합 추론형 문제의 비중이 증가했습니다.
KJMO는 초중등 대상 고난이도 수학 시험으로, 수리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문제가 구성됩니다.
2022~2024년 기출문제를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패턴이 도출되었습니다.출제 연도대표 출제 유형주요 난이도 요소특징2022 수와 연산, 수열, 확률, 기하 사고력 중심 단답형 계산력이 아닌 사고력 문제 다수 2023 경우의 수, 약수와 배수, 도형, 논리 단서 해석형 문제 도식화+조건 판단 문제 증가 2024 도형 응용, 수열, 대수, 논리 퍼즐 통합적 개념 적용 도형+대수 혼합 문제 증가 대한 수학회 홈페이지 기출문제https://www.kms.or.kr/kjmo/
✅ 분석 요약:
- 각 해마다 기본적인 연산력보다는 사고 전환과 조건 해석 능력을 요하는 문제가 출제됨.
- 특히 논리적 도식화 문제(예: 마름모, 수열 변화, 그림 조건 해석 문제)와 수학적 귀납, 약수 개수, 소수 판별 등 수 이론 문제가 늘어나는 추세.
- 도형 문제는 정사각형, 삼각형, 원의 넓이와 비율이 주요 출제 대상이며, 중등 심화 기하 수준의 사고가 필요함.
🎯 2025년 출제 예측 포인트 (Top 5)
- 연산 기반 사고력 문제 → 계산기 없이 푸는 식 단순화 + 수 이론 응용
- 도형 + 비율 + 넓이 문제 → 시각화 능력 + 기초 기하 공식 응용 + 논리 판단력 필요
- 경우의 수와 배열 → 중등 수준의 조합/순열 아닌, 조건 따르는 '전략적 조합'
- 문자식과 논리의 결합 문제 → 주어진 등식이나 조건에서 논리적 귀납을 통한 해석
- 패턴/수열/논리 퍼즐형 → 새로운 규칙 발견 능력과 귀납적 사고력이 핵심
3. KJMO 출제유형 및 난이도 변화
시험은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뉘며, 각 유형은 전략적인 준비가 필요합니다.
- ① 계산 기반 문제: 소수점 계산, 분수 연산 (예: 2022년 2번, 2023년 2번)
- ② 도형 추론: 넓이, 각도, 합동과 닮음 (2023년 11번, 2024년 1~3번)
- ③ 수열 및 논리형: 규칙 추론, 조건 탐색, 경우의 수 (2024년 14번, 15번)
- ④ 수학적 사고력: 새로운 조건 설정, 실험 기반 문제
① 기출분석은 핵심
- 최소 최근 3개년 기출문제를 반복 풀이하며 문제 유형에 대한 직관력 확보
- 단답형이지만 풀이 과정을 서술하는 연습도 필수
② 기하와 논리를 병행하라
- 초중등 수준의 원, 삼각형, 사각형 넓이/비율/각도 계산 숙달
- 조건을 해석하고 '그릴 수 있는 능력'이 점점 중요
③ 조건 기반 조합·배열 훈련
- 예: “이웃한 수끼리 서로소인 경우의 수”, “특정 합이 되는 자연수 쌍” 등
- 중학 수학 개념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훈련.
4. 시험 시간 관리 전략
KJMO는 **정확성과 시간 분배**가 핵심입니다.
- 1차 전략: 쉬운 계산 문제(1~5번)를 20분 이내에 풀기
- 2차 전략: 도형 및 논리 문제(6~15번)는 중간 점검과 빠른 판단
- 3차 전략: 고난도 문제(16~20번)는 남은 시간에 집중 풀이
★ 실전 대비 모의고사를 90분 → 80분 → 70분 식으로 단축하며 시간 감각을 익히는 훈련이 중요합니다.
5. 필수 추천 교재 TOP 5
교재명 특징 추천 대상 수학의 원리 – 초등 고급편 기초 사고력 + 유형 정리 초6~중1 올림피아드 기출문제집 (CMS/상상) 연도별 기출 유형 정리 전 학년 공통 꼭꼭 씹어먹는 수학영재 사고력 논리형, 창의적 문제 풍부 중등 대비용 수학사고력 캠프 게임형 사고력 문제 구성 학습 집중이 어려운 학생 Math Kangaroo/AMC 문제 국제형 문제 해석 능력 강화 최상위 도전자용 ✅ 기출 분석 + 패턴 학습
매년 유사한 유형이 반복되므로, 5개년 기출 반복 풀이는 필수입니다. 정답 맞추는 것보다, 풀이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주 1회 모의고사 → 실전 감각 유지
2시간짜리 KJMO 모의고사를 직접 구성하여 매주 1회씩 푸는 연습을 하세요. 특히 ‘시간 안배’를 연습해야, 실제 시험에서도 마지막 문제까지 풀 수 있습니다.
✅ 교재 선택은 ‘기출 중심 + 사고력 수학’
- 초반: 『수학의 정석 경시편』, 『수학사랑 사고력 수학』
- 중반: 『해법 경시 기출』, 『올림피아드 수학 입문』
- 후반: 『AoPS Geometry, Number Theory』, 『실전모의고사』
6. 합격생의 실전 준비법과 공부 루틴
합격생 A군(2023년 금상 수상)은 다음과 같은 루틴을 실천했습니다:
- 기출 문제를 3회독하고, 오답은 오답노트에 수기로 정리
- 모르는 개념은 중등 교과서 + 유튜브 영상으로 보충
- 매일 30분씩 복습 문제풀이 + 주 1회 실전 모의
실수 줄이기 팁: - 조건을 표시하며 읽기 (밑줄 활용) - 숫자 오기 방지를 위한 **다시 확인 전략** - 시험 전날은 최대한 푼 문제만 복습.
7. 2025 KJMO 학부모를 위한 조언
- 아이가 수학을 즐기고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문제 풀이보다는 ‘왜 이렇게 생각했는지’를 묻는 대화를 많이 나누세요.
- KJMO 결과가 모든 것을 결정짓는 것은 아니며, 과정 중심의 성장이 훨씬 중요합니다.
최근 3년간의 기출문제는 단순한 계산력보다는 창의적 사고와 논리적 유연성을 요구합니다. 특히 2024년 문제는 문제 해결에 시각적 직관력과 순서 구성력이 필요했습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기출을 정복하고, 사고력 문제를 꾸준히 접한다면 2025년 합격은 분명 가능합니다.
반응형'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 의대 입시 변화 총정리|지역인재전형 확대와 정원 회귀의 영향은? (2) 2025.06.07 우리 아이 글씨, 왜 안 고쳐질까? 유형 별 악필 교정 가이드 (1) 2025.06.07 이재명 대통령 교육정책 총정리: 중요한 변화는? (1) 2025.06.04 수학 선행과 심화,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 현실적 학습 순서 가이드 (1) 2025.06.04 책 좋아하는 아이, 국어 성적도 따라올까? 진짜 비밀은 이것! (2) 2025.06.01